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미국주식 재테크농부 머니마켓펀드

나스닥이 0.36% 강보합으로 마무리했습니다. S&P500과 나스닥은 종가 기준으로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는데요. 어제 특별한 소식은 없었지만, 월가에서는 FMC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보임에 따라 미 증시가 강보합세를 보였다고 분석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이런 상황에서 좋은 뉴스를 내보냈는데요. 골드만삭스는 어제 향후 12개월 내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질 확률을 35%에서 25%로 낮췄다고 발표했습니다. 올해 1월에 35%라고 분석한 뒤 5개월 만에 더 낮춘 것입니다. 그만큼 미국 경제가 튼튼하고 경기침체에 잘 버틸 것으로 예상한 듯합니다.

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미국주식 재테크농부 머니마켓펀드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앞으로 시장이 더 상승한다에 배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이 지표를 분석해 드렸지만, 그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배팅한 듯합니다. 지금의 수치는 2년 내 가장 낮은 콜옵션 수치입니다. 즉, 수치가 낮다는 것은 사람들이 상승에 배팅하고 있다는 뜻이죠. 다음 자료 또한 시장이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 요인이 되는데요.

바로 단기자금이 몰리는 머니마켓펀드에 수조 달러가 모여 있습니다. 현재 머니마켓펀드에는 약 6조 달러의 돈이 모여 있는데요. 실제로 JP모건 분석가는 이 엄청난 금액이 증시를 떠받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 수많은 돈들이 다시 주식 시장에 풀린다면 증시 하락을 막을 수 있다는 분석이죠.

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미국주식 재테크농부 머니마켓펀드

그리고 여기에 있는 돈들이 현재 부채한도 연장으로 인해 쏟아지는 미국 국채를 흡수한다면 대규모 국채 발행으로 인한 경기침체도 막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공포지수인 피어앤그리드 수치는 드디어 75를 가리키며 엄청난 환호를 보여주는 단계로 넘어갔습니다. 과거에 이렇게 올랐을 때 주가는 어떻게 움직였을까요? 첫 번째로 22년 8월 중순경 피어앤그리드 수치가 68까지 올라갔을 때 단기 고점을 거의 정확히 맞췄습니다.

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미국주식 재테크농부 머니마켓펀드

그러면 그다음은 어떻게 됐나 확인해 보겠습니다. 그다음은 81이라는 수치를 보여줬으며 올해 2월 1일로 역시나 이번에도 단기 고점을 거의 정확히 맞췄습니다. 그리고 신기하게는 실리콘밸리 파산 사건이라는 악재가 터졌습니다. 현재는 75로 크게 올라갔으며 다시 시장은 전고점까지 올라간 상태입니다.

이 자료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는 자료를 최근에 제가 분석해 드렸는데요. 바로 풋콜옵션입니다. 보시면 상승의 배팅에서 풋콜옵션이 낮을 때는 어김없이 단기 고점이었고 하락의 베팅에서 이 수치가 높을 때는 여지없이 바닥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미국주식 재테크농부 머니마켓펀드

현재 이 수치는 다시 한번 크게 내려간 상태입니다. 앞서 보여드렸다시피 현재 2년 내 최저치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상승한다에 엄청나게 배팅한 것이죠. 그렇다면 경제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료를 간단히 보겠습니다.

지금 이 자료는 골판지 가격인데요. 골판지 가격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경제 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건이 많이 판매되면 당연히 포장하는 골판지 가격이 상승하지만, 물건이 안 팔리면 떨어지기 때문이죠.

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미국주식 재테크농부 머니마켓펀드

보시면 골판지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 대부분 경기 침체가 찾아왔습니다. 하지만 100%는 아니고 높은 확률로 찾아왔으며 현재 수치는 최근 25년간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4월 공장 주문 지표 자료인데요. 전년 대비 상승은 했지만, 추세를 보시면 계속 하락하고 있습니다. 앞서 본 골판지 가격 차트와 비슷한 모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미국주식 재테크농부 머니마켓펀드

다만 대표적인 경기침체 지표인 구리 가격은 그래도 작년보다는 많이 반등한 상태입니다. 앞선 골판지 가격과 다르게 경기가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연준의 긴축이 다시 돌아가고 있는데요. 실리콘 밸리 은행 파산 사건 이후 연준의 대차대조표가 증가해서 시장은 기대했지만 어느새인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계속해서 긴축이 이어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일주일 만에 금리 인상 확률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일단 크게 바뀐 점은 6월 FMC에서 금리 동결 확률은 더 올라갔지만, 7월에 금리 인상을 할 확률은 더욱 높이 올라갔습니다.

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미국주식 재테크농부 머니마켓펀드

그리고 금리인하 속도는 더 느려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왜냐하면 6월 1일에는 내년 말에 3.5%를 예상했지만, 현재는 3.75%를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최근 빅테크들의 상승세와 앞서 보여드린 머니마켓펀드 자금을 보면 연준이 긴축한다고 했지만, 시장에는 여전히 많은 현금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다 부채한도 연장까지 되면서 시장에 다시 한번 돈이 풀릴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인플레이션은 잡혀가고 있지만 그 속도가 빠르지 않고 고금리는 더 오래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어떤 지표는 경기침체, 어떤 지표는 경기회복을 보여주면서 지표가 혼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침체가 와도 주식 시장은 문제 없다. 미국주식 재테크농부 머니마켓펀드

매크로로 환경을 분석하는 것은 분명 주식투자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연준의장 파월도 경제예측을 틀렸으며 피터 린치나 워런 버핏 또한 경제예측은 크게 의미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렇기에 경제를 예측해서 투자하는 것보다 미리 분석해서 실제로 그런 경제 상황이 왔을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또는 어떤 종목을 살지 등을 분석해 보신다면 시장이 다시 큰 공포에 빠져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YouText의 콘텐츠는 이렇게 만들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