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도 이런 감각적인 영상을 만들어 보고 싶으신가요? 여러분도 전문 강사에게 제대로 배우시면 따라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온라인 클래스 시장이 커지면서 이런 강의를 집에서도 쉽게 배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러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들이 있는데요. 그중에 저는 이번에 ‘콜로소’라는 사이트를 통해서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콜로소에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알려주는 강좌가 많이 있는데요. 여기에 있는 모든 온라인 강의는 한 번 구매로 ‘평생 시청이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그중 유튜브에서 프리미어 프로 강의로 유명한 조블리님의 ‘한 방에 끝내는 프리미어 애프터 이펙트 편집 플래스’ 신청했습니다. 저는 프리미어 프로를 유튜브 편집 때마다 쓰고 있기는 하지만 매번 쓰는 기능만 쓰다 보니 좀 더 다양한 기능을 익히고 싶었는데요.
그리고 아직 배워보지 않은 애프터 이펙트까지 배워보기 위해서 이번에 강의를 신청하게 되었어요. 콜로소에 있는 조블리님의 강의는 총 100개의 강의가 있고, 강좌당 시간도 평균 40분으로 상당히 길어요.
프리미어 프로를 전혀 해보지 않은 초보자분들부터 저처럼 어느 정도 해본 사람들까지 들어도 꽤 유용한 꿀팁도 많았습니다.
그리고 해당 강좌의 장점은 평생 시청이 가능하다는 점과 200개 가량의 예제 파일, 템플릿 같은 평생 소장 강의를 제공해 준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래서 제공해 주는 영상소스를 가지고 직접 똑같이 실습해 볼 수도 있어요.
이 분은 유튜브에서도 프리미어 프로와 애프터 이펙트 편집 강의 콘텐츠로 유명한 분인데요. 저 같은 경우도 프리미어프를 처음 배울 때 이분의 콘텐츠를 많이 참고를 했었습니다.
후기도 상당히 좋았고, 내가 아직 잘 몰랐던 그런 꿀팁들이 생각보다 많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프리미어 프로를 한 번도 배워보지 않으신 분도 이걸로 배우셔도 괜찮을 것 같았어요.
커리큘럼을 간단히 보시면 프리미어 프로 45강, 애프터 이펙트 55강으로 되어 있고, 챕터별 강의가 다 나눠져 있는데요. 한 강좌당 시간이 40분, 50분 이렇게 아주 자세하게 설명을 해 줍니다.
제가 오프닝 때 보여드렸던 콘텐츠는 프리미어 프로 금손 레벨업 섹션에서 움직이는 스냅 사진콘텐츠 만들기 강좌를 참고하여 제작해 보았습니다. ‘상세 커리큘럼 다운받기‘ 눌러주시면 세부 커리큘럼을 확인을 하실 수 있고요. 처음 시작하신 분들은 처음부터 쭉 보셔도 될 것 같고, 저 같은 경우는 여기에서 내가 필요한 부분만 찾아서 보고 있어요.
프리미어 프로에서 할 수 있는 웬만한 내용들이 다 있기 때문에 편집을 하시다가 안 되거나 어려운 부분이 있으면 여기에서 찾아보고 따라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런 편집 강의는 오프라인 강의보다는 온라인 강의로 듣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내가 잘 모르는 부분만 찾아서 들을 수 있고, 내가 듣다가 잘 모르겠으면 반복해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저는 온라인 강좌 사이트를 추천을 드리고 있어요. 이번에 제가 유용하게 배운 것 중에 하나를 소개해 드릴까 하는데요. 반응형 자막과 텍스트가 뚫린 자막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여기에서 배운 걸 바탕으로 한번 소개를 드릴게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자막 중에 반응형 자막이라고 해서 자막바가 있는데요.
글자를 수정하면 수정하는 대로 자막바가 같이 길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저도 이 기능을 모를 때는 자막바를 시퀀스에 이미지로 넣어 놓고 사용했는데요. 그럴 경우, 글자를 수정해도 자막바는 움직이지 않아 직접 길이를 늘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글자에 따라서 자막바 길이가 늘어나는 ‘반응형’을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움직이는 반응형 자막바를 만드는 방법을 한번 소개를 드릴게요.
일단 이런 자막바를 만들기 위해서는 자막바 이미지를 구글에서 다운로드를 받으시면 되는데요. 반응형 자막바를 만들기 위해서는 완성된 자막바 이미지 말고, 3등분으로 나눠진 자막바 이미지를 필요로 합니다. 자막바 앞 부분, 중간 부분, 끝 부분 식으로 크기를 맞춰서 3등분을 하시면 되는데요.
저는 수업 소스에 이 내용들이 있어서 그대로 사용을 했습니다. 그래픽의 편집탭에 하나씩 자막바를 넣어주세요. 3등분으로 나뉜 자막바를 하나로 붙여주셔야 돼요. 그다음 하나로 합쳐진 자막바 위로 글씨를 넣어주시는 거죠.
글씨가 자막바 위에 보이시려면 그래픽 탭에서 글자 소스가 자막바 소스보다 위에 있어야 돼요. 그다음 ‘기본그래픽’탭 아래에 ‘반응형 디자인 위치’라고 있는데요.
자막바 앞부분을 ‘기본그래픽’탭에서 선택 후, 아래 ‘반응형 디자인 위치’ 탭에서 ‘고정 대상’의 네모칸을 눌러 자신이 적은 글자(자막)을 고른 상태에서 왼쪽과 아래쪽 화살표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자막바 중간 부분도 ‘반응형 디자인 위치’ 탭에서 ‘고정 대상’에서 내가 쓴 글자 내용을 선택해주시면 되시고요. 방향을 선택하는 칸에서는 네모 도형을 선택해주면 전체가 선택이 됩니다.
자막바 끝부분도 똑같이 글자 내용에 고정을 해주신 후, 방향은 오른쪽과 아래쪽에 해주시면 완성입니다.
이제 자막바를 마우스로 클릭해 움직여 보시면 전체가 같이 움직입니다. 또 글자가 써지는 것에 따라 길어지고, 줄어 들기도 합니다.
이렇게 완성된 것을 앞으로 계속 쓰시기 위해서는 시퀀스에 있는 텍스트에 가셔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눌러주시고 ‘모션그래픽 템플릿으로 내보내기’ 를 클릭해주시고요.
내보내기 클릭 시 뜨는 창은 바로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기본 그래픽’ 탭에 ‘찾아보기’ 탭에서 자막바가 만들어진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본그래픽에 저장되어 있으면, 바로 시퀀스에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죠.
다음은 ‘투명한 텍스트’를 한번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에서도 많이 보셨을 거예요. 생각보다 만드는 방법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이것도 조블리님의 콘텐츠를 통해서 배우게 되었어요. 일단 글자를 한번 써 볼게요. 화면 중앙에 유튜브라고 써 보겠습니다. 좀 굵은 폰트로 바꿔서 만들어 볼게요.
자막에 배경을 넣을 건데요. ‘펜 도구’에서 사각형 도구를 선택해 글자 위에 네모를 그려 주시면 됩니다. 이 네모 위로 글자가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기본 그래픽’에서 모양과 글자의 위치 순서를 바꿔주시면 되십니다. ‘기본 그래픽’에서 텍스트를 클릭하신 후에 하단 ‘모양’ 탭에서 ‘텍스트 마스크’라고 적힌 네모박스를 클릭하여 활성화 합니다. 그러면 자막바 아래에 있던 네모 상자가 사라졌을 거예요.
그럼 ‘텍스트 마스크’ 바로 아래에 있는 ‘반전’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완성입니다. 글자 부분이 투명해진 거 보이시죠? 이렇게 만들어주는 겁니다. 어렵지 않으시죠?
2023년에 여러분들도 편집 실력을 늘리고 싶으시다면 조블리님의 프리미어 프로 클래스를 통해서 첨부된 템플릿과 함께 직접 따라 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런 꿀팁들을 받아 가시면 여러분도 금방 편집 전문가가 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YouText의 콘텐츠는 이렇게 만들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