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콘텐츠로 건너뛰기

저주받은 대륙이라 불리던 아프리카를 살린 한국의 ‘○○기술’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얼마 전 농촌진흥청이 지난 2020년 아랍에미레이트 사막에서 쌀 재배에 성공했다는 사실을 전해 드렸었는데요.

농촌진흥청을 필두로 한 한국의 농업기술은 중동, 아시아, 아프리카 할 것 없이 불가능할 것 같은 환경에서 무에서 유를 창조해 내고 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특히 농작물이 성장할 수 없어 빈곤과 기아로 아픔을 겪는 아프리카 사막에서 감자를 키워내고, 옥수수를 수확하고, 젖소까지 보급하더니 알제리에서는 새우 양식까지 성공해냈습니다.

괜히 한국의 농업기술을 ‘신’이라고 부르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데 한국이 아프리카에서, 쌀 소비량이 가장 많다는 국가에서 또 한 번 기적을 일으켰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쌀이 주식임에도 자급률이 낮아 50% 이상을 외국 수입쌀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세네갈은 한국의 도움 덕분에 쌀 자급률을 넘어 농민소득이 38% 늘어나면서 이제 더 밝은 미래를 내다볼 수 있게 됐는데요.

이런 덕분일까요? 얼마 전 세네갈로 보이는 ‘정체를 밝히지 않은 한 아프리카 국가’가 한국으로부터 전투기를 비밀리에 도입했습니다.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요?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안녕하세요, 디씨멘터리입니다. 소위 선진국이라는 국가들은 ‘공적개발원’을 통해 가난하고 어려운 개발도상국을 돕습니다. ‘다른 국가의 빈곤은 비단 그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다’라는 철학으로 전 세계 빈곤 퇴치를 위해 매년 천문학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한국 역시 한때는 개발도상국보다도 아래인 빈곤국으로 다른 국가의 손길이 절실했던 적이 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한국전쟁 직후, ‘이 나라가 나라 구실을 하려면 최소 1세기는 걸릴 것이다’라던 맥아더 연합군 총사령관의 호언장담이 지금의 현실에서 보자면 쓸데없는 걱정이었지만 그 시절은 그렇게 보였습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은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에게 ‘제발 원조를 부탁한다’고 편지를 보냈고, 미국은 불쌍한 한국을 돕기 위해 원조를 보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옥수수가루, 다 찢어진 군복, 남들이 입다 버린 속옷, 분유, 미군이 먹다 버린 잉여농산물을 원조받아 한국은 가까스로 1950년대를 버텼습니다.

그리고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던 1969년까지도 800억 원의 원조를 받았는데요. 이 금액은 당시 한국 전체 예산의 4분의 1수준입니다. 하지만 지난 2009년 한국은 전 세계 그 어느 국가도 해내지 못한 기적을 세계 최초로 써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개발도상국에 원조를 제공하는 국가들은 대부분 OECD 개발원조위원회에 가입합니다. 이들은 ‘원조 공여국 클럽’이라고 하는데, 한국은 지난 2009년 DAC 24번째 공식 회원국으로 승격했습니다.

‘원조 수혜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한 유일무이한 사례죠. 단편적인 예로 가입 직전인 2008년 한국은 한국전쟁 때 피를 흘리며 함께 싸워 준 필리핀, 에티오피아, 콜롬비아에 각각 100억, 50억, 30억 원을 지원했고, 지금 현재 그 규모는 더 확대됐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아무래도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국가는 ‘저주받은 대륙’이라 불리는 아프리카일 겁니다. 뜨거운 햇빛 덕분에 수증기는 증발하다 녹아버려 애초에 구름이 만들어 지지 않다 보니 건조한 기후가 이어지고 건조한 기후에서는 식물이 자랄 수 없습니다. 오아시스가 아닌 이상 그 어디에서도 수분을 얻을 수 없어 기아로 시달리고 있는데요.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이런 아픔을 인지한 한국은 유무상 원조를 합쳐 2005년 약 500억 원에서 2021년 한 해에만 약 6,500억 원으로 확대시켜 약 15년 만에 10배 이상의 지원규모를 늘렸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타 원조 공여국과는 다른 방식을 채택했는데요. 지난 2009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선정된 잠비아 출신의 ‘담비사 모요’는 ‘이제껏 선진국들이 한 것은 죽은 원조’라고 정의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오로지 돈에만 포커스를 맞춰 지원했지만 이러한 지원금의 대부분은 부패한 권력자의 주머니만 채워주니까요. 그 돈을 이용해 권력을 장악하고 다시 원조금으로 금고를 채우는 악순환이 연속되는 겁니다.

‘교자채신’이라는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물고기를 주기보다는 물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쳐 주라’는 의미인데, 한국이 세네갈을 도운 방법이 꼭 교자채신과 같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대서양 연안에 자리한 세네갈은 서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도 쌀 소비량이 가장 많은 국가입니다. 2021년 기준 세네갈은 연간 1인 당 평균 110kg의 쌀을 소비하는 데 한국의 두 배 가까운 양입니다.

덕분에 세네갈의 국화는 벼일 만큼 쌀에 대한 애정과 갈망이 컸지만 불과 몇 년 전까지도 쌀 소비량이 50%를 외국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수입도 돈이 있어야 하는 법이기 때문에 전체 가구의 18.8%는 식량 부족을 겪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더구나 벼는 모내기부터 수확까지 물속에 잠겨 있어야 하지만 모래가 대부분인 사막에서 이런 환경은 꿈도 꿀 수 없습니다. 이에 세네갈 정부와 국민들의 쌀에 대한 갈구는 높아져갔고, 급기야 한국 농촌진흥청에게 도움의 손길을 요청합니다.

농진청이 2016년, ‘아프리카 벼 개발 파트너십 사업’에 뛰어들게 된 배경인데요.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2010년 한국정부는 아프리카 19개국과 함께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회의체’ KAFACI를 출범했는데, 현재는 23개국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국가가 공통적으로 식량부족 문제를 겪고 있기 때문에 농진청은 이들에게 쌀을 직접 지원하기보다 현지에 적합한 쌀을 재배해 자급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벼 품종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2016년부터 시작된 ‘아프리카 벼 개발 파트너십 사업’입니다. 가장 먼저 성과를 보인 국가가 세네갈인데요.

세네갈의 식량 갈증 문제를 해결한 것은 한국에서도 신화처럼 불리는 ‘통일벼’였습니다. 1960년대 필리핀의 ‘국제미작연구소’에 근무하던 허문회 박사는 가난한 한국을 위해 ‘IR667’이라는 품종을 개발한 후 1972년부터 국내에 ‘통일벼’라는 품종으로 보급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5년 뒤 한국에 쌀 자급자족을 성공시킨 신화 같은 품종인데요. 다만 생산성이 높지만 밥맛이 부족해 1992년 한국에서는 자취를 감췄지만 아프리카에서는 새로운 희망으로 떠올랐습니다.

농진청은 통일벼를 베이스로 아프리카 기후와 토양에 맞게 품종 개량 연구를 시작했는데, 오랜 연구 끝에 태어난 것이 세네갈형 통일벼 품종인 ‘이스리’입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이스리-6, 이스리-7으로 명명된 이 품종은 한국의 ‘밀양 23호’와 ‘태백’을 세네갈로 가져가 현지에 맞게 적응시험을 통해 탄생했습니다.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2018년 세네갈의 다가나 지역 ‘음부벤 마을’에서 첫 재배가 시작됐는데, 단위면적당 생산량, 품질 등 모든 면에서 우수했고, 그가 세네갈 논을 장식했던 ‘사헬’ 품종보다도 밥맛이 뛰어나고 수확량도 3배 이상 높았죠.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그래서 보급 직후 500헥타르에 불과하던 이스리 재배면적은 2021년 2만 헥타르를 넘어 대부분의 농가가 이스리 품종을 재배하고 있는데요. 생각지 못한 소득도 있었습니다. 식량문제 해결을 위해 보급한 이스리 품종은 현지에서 kg당 800원에 판매됐는데, 같은 기간 사헬은 kg당 700원을 받습니다. 더구나 수확량이 3배 높다 보니 단순히 계산해도 사헬보다 농가 수익이 최소 3배 이상 증가하는 겁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그래서 세네갈 국민들에게도, 세네갈 농부들에게도, 세네갈 정부에게도 가장 이상적인 프로젝트가 됐죠. 그런데 전혀 의외의 분야에서 세네갈이 한국에 은혜를 갚고 있는데요. 한국이 세네갈을 위해 벼 품종 개발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던 2016년 7월 16일 세네갈 정부는 한국에 KT-1 웅비 기본훈련기 4대 구매계약에 서명했습니다.

지금이야 워낙에 한국산 무기를 도입한 국가들이 많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아프리카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한국 무기 자체가 수출성과를 올리지 못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그런데 세네갈이 나서서 대당 100억 원에 가까운 항공기를 수입하겠다니 입이 쩍하고 벌어지는 사건이었죠.

KA-1S로 명명된 이 훈련기는 국내 기술로 개발한 KT-1 기본훈련기에 세네갈 공군이 요청한 사항을 반영해 제작됐습니다. 세네갈을 뜻하는 ‘S’와 세네갈을 상징하는 ‘테랑가의 사자’가 동체전면에 새겨졌는데요. 원래 2019년 말 인도가 예정됐었으나 코로나 사태로 지연되다 2020년 5월에 두 대를 인도했습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그리고 세네갈 국방부가 주관한 대규모 국가 기동훈련에 참여하면서 외부에 공개됐습니다. 재원도 넉넉하지 않은 세네갈이 400억 원에 가까운 돈을 투입해 항공기를 구매한 것은 큰 의미가 있는데요.

그런데 단 한 대의 전투기나 공격기를 보유하지 못한 세네갈이 ‘FA-50도 수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사실 이 내용은 세네갈도, 한국의 KAI도 언급을 꺼리는 내용인데요.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지난 2022년 9월 7일 세계적인 항공우주 전문매체인 미국의 ‘Aviation Week’는 ‘아프리카 국가, 곧 FA-50 인수 예정’이라는 기사를 내보냈습니다.

기사는 ‘한국의 KAI가 이름을 공개하지 않은 아프리카의 한 국가에서 FA-50 경공격기를 인도할 예정이다. KAI 관계자는 고객의 신원과 구입한 항공기의 수량에 대해 입을 다물었다’ 고 썼는데요.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세네갈이 올여름 4기의 FA-50 경공격기를 배치했다’는 관련된 기사가 몇 개 올라왔다가 순식간에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글로벌 항공, 항공우주, 방산업계를 다루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Aviation Week가 거짓으로 보도할리는 만무하고, 어느 정도 사실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겁니다.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원래 세네갈이 이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매체를 통해 보도되었는데요. 원래는 체코에 ‘에어로 보도초디’가 개발한 경공격기 L-39NG를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계약이 결렬되면서 한국으로 눈길을 돌렸습니다. 그리고 KAI도 세네갈도 명확하게 밝히지는 않았지만 이름을 밝히지 않은 아프리카의 한 국가는 세네갈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시선인데요.

해외반응 일본반응 중국반응 한류 해외리얼반응 외국반응 해외언론

한국이 식량문제를 해결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한국산 항공기 등을 도입한 것인지, 한국산 항공기의 성능에 반한 별개의 결정인지는 알 방법이 없지만 어쨌든 한국산 항공기가 아프리카까지 진출했다는 것은 꽤 긍정적인 시그널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YouText의 콘텐츠는 이렇게 만들어 집니다.

유텍스트 YouText 글로 읽는 동영상에서 더 알아보기

지금 구독하여 계속 읽고 전체 아카이브에 액세스하세요.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