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걸그룹 출신 아나운서 29살 박서휘라고 합니다. 요즘에는 TV에는 못 나오고 있고 예전만큼은 출연을 많이 못 하고 있어요. 걸그룹 LPG라고 있었는데 거기 멤버였어요. 영어 과외 전단지 붙이고 있었는데요. 제가 방송 활동도 하면서 과외를 부업으로 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열심히 붙이고 있어요.
제가 요즘 개인적으로 슬럼프를 겪고 있는데 모든 게 다 잘 안되고 있어요. 방송도 잘 안되고 마음고생도 많이 하고 지원하는 곳마다 다 떨어지고요. 그래서 뭔가 저와 비슷한 상황을 겪고 계신 분들께 같이 극복해 보자는 메시지를 전달해 드리고 싶어서 출연 신청을 하게 됐습니다.
저는 스포츠랑 e스포츠 아나운서로 활동해서 프로야구나 게임 쪽 리그를 담당했었어요. 방송도 예전만큼 많지도 않고 아나운서는 행사로 돈을 버는 건데 행사가 요즘 없잖아요. 그리고 지원할 때마다 다 떨어져요.
근데 그게 거의 한 2년 된 거 같아서 이렇게 긴 시간 잘 안 풀리니까 심적으로도 힘들고 자존감도 떨어지고 자신감도 많이 없어지더라고요. 그리고 이 전단지도 제가 스무 살 때만 해도 전단지 그냥 붙였었는데 요즘에는 30만 원 달라고 하더라고요. 30만 원을 지금 내면은 좀 많이 부담스럽기도 하고 빠듯해서 그때 진짜 절망적이었죠. 과외로 돈을 벌고 싶은데 홍보조차 못 할 때요.
근데 이곳은 되게 저렴해요. 3만 원대로 부착할 수 있어요. 아나운서 하면서 남는 시간은 과외도 많이 하고 아르바이트를 안 해본 게 없하는 거거든요. 마트 알바도 되게 많이 하고, 백화점 알바 최근까지도 계속했었어요. 인쇄소에서 인쇄하는 알바도 되게 오래 했고 방송하면서도 사실 아르바이트는 빼놓을 수가 없는 거 같아요.
아나운서로는 매주 라디오 하게 된 건 5년 동안 하고 있고 어차피 프리랜서라서 방송국 찾아다니면서 프로필 뿌리고 이러면서 방송하고 있어요. 이렇게 붙여도 시기가 시기인지라 뭔가 과외를 많이 안 하시는 추세기도 한 거 같아요. 예전보다는 많이 줄었어요.
수입은 매달 달라서 어떻게 말씀드릴지 모르겠는데, 그냥 회사원분들 버는 정도로 벌어요. 근데 이게 제가 주 5일 근무를 정확히 하는 게 아니라 뭐 어떨 때는 주 7일 근무할 때도 있고요. 정말 진짜 잘 벌었을 땐 감사하게도 억대도 벌었죠. 근데 한 방송사에서 번 건 아니고 이것저것 많이 했고 행사도 많이 다니고 해서 벌었었죠.
저는 고려대학교를 졸업했습니다. 요즘에는 학벌보다는 개개인의 역량이 좀 더 필요해지지 않았나 싶긴 해요. 학교도 학교지만 정말 방송에 투입했을 때 방송을 잘 이끌어갈 만한 친구들이 많이 뽑히는 거 같아요. 저는 스포츠 아나운서만 보고 처음에 시작한 거였하는 거거든요. 야구가 너무 좋아서요.
좋아하는 야구를 제가 자신 있는 이 방송과 같이하면 너무 좋을 거 같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스포츠 아나운서로 도전하게 됐죠. 지금 날씨가 거의 한 36도, 38도 되는 거 같은데 사실 2년 동안 너무 힘들어서요. 그게 더 힘들지 이렇게 뭐 더운 날씨에 하는 거는 하나도 힘들지 않아요. 오히려 열심히 안 하고 집에 있으면 그게 마음이 더 힘들 거 같아요.
제가 쉬는 날에 아나운서 연습하거나 비대면 과외 공부를 하거나 이럴 때 스터디 룸에 와서 하는데 좋더라고요. 항상 목을 쓰다 보니까 목 관리 해야 해서 미지근한 물을 주로 많이 마시는 편이에요. 시원한 걸 잘 못 마셔요.
사실 평소 말투랑 아나운서 연습할 때 말투랑 너무 달라지면 안 된다고 배웠는데요. 평소에도 그렇게 말해야 하는데 저는 스포츠 아나운서다 보니까 뉴스를 할 일이 없었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서 연습생이라 생각하고 정말 아나운서처럼 하려고 노력을 많이 하고 있어요.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힘주고 하는 거 하는 거거든요. 앵커들은 사실 되게 편안하게 말을 하하는 거거든요. 그러려면 평소에도 신경 써서 얘기하고 이러려고 많이 노력하고 있어요. 아나운서 연습은 매일 해요. 하루라도 빼놓으면 이게 티가 나요.
예전에 좀 더 어렸을 때는 마트 아르바이트하거나 그럴 때 사람들이 좀 알아봐 주시는 분들도 있어요. 저는 그게 너무 감사한데 그분들의 질문은 ‘근데 왜 여기서…?’ 이거였어요. 그분들이 좀 어색해하시죠. 저 스스로는 알아봐 주셔서 감사하고 제가 또 불법적인 일을 하는 게 아니다 보니까 굳이 그렇게 뭐 열심히 사는 게 창피한 일은 아니니까요.
아나운서 준비하는 동생인데 계속 서류에서 떨어진다고 해서 너무 마음이 아프더라고요. 그래서 지원서랑 뭐 지원 영상에 좀 도움을 줄까 싶어서 얘기하고 있었어요. 주변 준비생들한테 도와주고 있는데 저도 사실 준비할 때 도움을 너무 많이 받아서 당연히 저는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스터디 모임도 지금 나가고 있어서 거기에서 아나운서 준비하는 친구들도 알게 되고 제가 다른 건 몰라도 서류 합격은 그래도 좀 자신 있는 편이어서 저의 노하우를 동생들한테 전달해 주고 싶더라고요.
사람마다 기회가 오는 때가 다 다르잖아요. 안 되면 ‘이게 지금 내 때가 아닌가 보다.’ 하지만 항상 그 속에서 저는 최선을 다하고 있는데 실패하더라도 얻는 과정이 너무 소중한 거예요. 매번 배우는 게 있고 느끼는 게 있다 보니까 실패만 있다고 생각하진 않는 거 같아요. 나는 준비가 됐는데 누군가가 저를 찾지 않는다는 게 너무 외롭고 자존감이 낮아지더라고요. 나는 언제든 전장에 나갈 준비가 돼 있는데 출전을 계속 안 시키는 거죠. 계속 벤치만 앉아있는 느낌이요.
그렇다고 제가 집에만 가만히 일 연락이 올 때까지 기다리는 게 아니라 정말 열심히 뛰어다니고 준비도 많이 하는데 매번 벤치 인생이죠. 그것도 약간 나는 그래도 출전을 해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그때 너무 짜릿했고, 감사했는데 그때 그 행복한 추억 속에서 다시 꿈을 꿔야 한다는 게 더 열심히 하라는 뜻이 아닐까 싶어요.
오늘 촬영하니까 제가 더 좋은 에너지를 가져가는 거 같아서 너무 감사하고 좋았어요. 마지막으로 휴먼스토리 시청자분들 중에 요즘 힘드신 분들도 많을 거 같은데 저도 이렇게 힘차게 극복해 나가고 있으니까요. 그래도 긍정적으로 생각하셨으면 좋겠고 언젠가는 여러분들의 빛을 발하는 날이 반드시 찾아올 거라 생각합니다. 여러분들 힘내시고요. 저도 많이 응원해 주세요. 휴먼스토리 파이팅!

YouText의 콘텐츠는 이렇게 만들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