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한기사입니다. 치열한 D 세그먼트 시장에서 최강자, 교과서 또는 왕의 귀환이라는 극찬이 끊이지 않는 BMW의 준중형 세단, 바로 ‘BMW 320i’입니다.
더욱 커진 차체와 스포티한 주행성능을 바탕으로 7세대 G바디 BMW 320i를 구매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으실 텐데요. 그래서 BMW 320i 차주분을 만나러 부산광역시에 도착했습니다.
[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
안녕하십니까, 2021년식 320i G바디 차주입니다. 반갑습니다.
[ 차량 소개 부탁드릴게요. ]
이 차량은 2021년식 G바디 320i 럭셔리 패키지고요. 이노 프리 없는 트림이고 184마력 / 30.6토크 입니다.
[ 신차로 구매하신 건가요? ]
네,신차로 구매했습니다.
[ 프로모션 할인 같은 거 얼마나 받으셨나요? ]
저 같은 경우에는 프로모션 총 합쳐서 거의 900만 원 정도 받았고요. 그때 당시에 이노 프리 모델이 상당히 인기가 있었는데요. 이노 프리가 이노베이션 패키지 200만 원 그리고 프리미엄 패키지 140만 원에서 총 340만 원 짜리이거든요. 이 모델 같은 경우에는 이노 프리가 없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900만 원이라는 금액을 할인 받을 수 있었던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 구매 가격은 어떻게 되시나요? ]
정가 5,400만 원 정도로 기억을 하고요. 제가 900만원 할인을 받아서 취등록세까지 다 합쳐서 4,700만 원 가량 지불 했습니다.
[ 구매는 언제 하신 건가요? ]
2020년 11월 달에 구매를 했습니다.
[ 받아 보는 데까지는 얼마나 걸리셨나요? ]
2주 밖에 안 걸렸습니다. 이노 프리가 없는 모델이어서 상대적으로 수요가 없었고요. 그리고 바로 평택항에서 PDI 검사를 마치고 난 다음에 바로 내려왔었기 때문에 2주라는 시간이 걸렸던 것 같습니다.
[ 현재 총 주행 거리는 어떻게 되시나요? ]
지금 17,200km 주행하고 있습니다.
[ BMW 320i을 구매하시기 전에는 어떤 차를 타셨나요? ]
2019년식 미니쿠퍼 3도어 SD 모델을 타고 있었고요. 그걸 1년 반 정도 운행을 하다가 320i를 구매하게 됐습니다.
[ BMW 320I를 구매한 이유는? ]
처음에 제가 BMW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아버지께서 초등학교 때 갑자기 BMW E46 325i를 처음 사왔는데요. 초등학생이었지만 그 BMW의 엔진 배기음과 기계적인 느낌의 감성이 되게 좋았던 거예요. 그래서 그런 좋은 기억들이 많이 남아 있어가지고 BMW 계열인 미니쿠퍼와 320i를 구매하게 된 것 같습니다.
[ 320i를 선택하신 이유는? ]
사실 320d도 있고, 330e와 320i가 있었는데요. 저는 차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점 자체가 직관성이거든요. 차량의 기본 특성인 잘 달리고, 잘 서고 그다음에 잘 도는 것. 거기에 충실한 차가 아무래도 3시리즈가 아닌가라고 생각했고요. 그래서 이제 320i 3시리즈를 골랐죠.
[ MSP를 선택하지 않고 럭셔리를 선택하신 이유는? ]
저는 승차감을 좀 더 중요시를 했고요. 그리고 럭셔리를 고른 가장 큰 이유는 시트거든요. 시트 자체가 M스포츠 같은 경우에 그때 당시에는 알칸타라 시트였고, 럭셔리 트림에는 천연가죽 시트가 들어가 있었기 때문에 앉아보니까 더 편안하더라고요. 이런 것들을 종합을 해 봤을 때 럭셔리가 더 맞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 럭셔리 트림과 M스포츠 패키지 트림의 실내/외 차이점은 뭐가 있나요? ]
우선 외관적인 부분을 보시면 범퍼 디자인 자체가 다르고요. 그리고 휠 디자인도 다르고 럭셔리 트림 같은 경우는 보통 크롬 마감으로 되어 있는데 M 스포츠 패키지로 넘어가면 대부분이 블랙 하이그로시를 엄청 많이 쓰더라고요. 그리고 실내로 보시면 스티어링 휠과 그리고 센터 패널 마감 소재 같은 것들이 좀 달라요. 가장 큰 차이는 천장이죠. 럭셔리 트림 같은 경우는 약간 베이지 느낌인데, M 스포츠 패키지가 들어가면 천장이 검정색으로 바껴요.
[ BMW 320i와 동시에 구매를 고민했던 차량이 어떤 게 있을까요? ]
잠시 고민했던 게 스팅어 2.5T를 고민했었어요. 스팅어를 제가 비교 대상으로 올렸던 이유는 현대/기아에서 걸작이지 않습니까? 그리고 또 최초로 후륜세단으로 출시를 한 점도 인상이 깊은데 그래도 브랜드 헤리티지와 명성 자체가 아직까지 BMW가 더 가지고 있구나라고 생각을 해서 3시리즈를 선택을 하게 된 것 같습니다.
[ BMW 320i 장점은? ]
잘 달리고, 잘 서고, 잘 멈추는 본질적인 요소에 충실히 한 차가 아닌가 싶습니다. 일단 잘 달린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이 차가 184마력 즉, 200마력이 안 되는 엔진임에도 불구하고 초반에 나가는 느낌 자체가 184마력 답지 않게 잘 나간다는 느낌이 있었거든요. 여기에 롱스트로크 엔진이라고 해 가지고 기어비 자체를 길게 쓴다는 걸 제가 볼 수 있었고요.
디젤 엔진처럼 세팅을 했기 때문에 초반에 치고 잘 나간다는 느낌을 받을 수가 있었고요. ‘잘 돈다’ 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는 핸들을 틀었을 때 피드백이 빠릅니다. 스티어링 휠을 내가 돌리는 만큼 피드백이 빠르기 때문에 이 차에 대한 안정감 요소들이 느껴지고요. 브레이크 성능 또한 1피스톤임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 정도 밟으면 저만큼 멈출 수 있겠구나’ 그런 예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잘 선다’ 라는 측면에서도 너무 큰 장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차량이 G바디로 넘어오게 되면서 휠베이스가 좀 길어지다 보니까 차체의 고속 안정성도 좀 높아졌고요. 서스펜션 세팅이 바뀌다 보니까 F바디의 컴포트성은 계승을 하되, E바디 시절의 스포츠성을 물려받았다는 평가가 굉장히 많은 게 이 녀석이더라고요.
또 다른 장점은 미션을 꼽을 수가 있는데요. 유명한 ZF 8단 미션입니다.
장착으로 인해서 동력 손실을 막아줄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연비도 좀 많이 좋아졌다고 생각이 들거든요. 연비 같은 경우에는 고속도로 기준으로 항속주행만 하면 19km/l까지 찍은 적이 있습니다. 합리적으로 세팅된 기어비가 아닌가 생각해요.
시내 주행을 하게 되면 10~11km/l 이렇게 떨어지죠. 또 다른 장점은 승차감으로 꼽고 싶은데요.
승차감 같은 경우에는 당연히 현대 기아의 K8이나 그랜저 / 쏘나타 / K5에 비하면 상대가 안 되기는 하지만요. 그래도 덜 피곤한 차라고 저는 말씀드리고 싶거든요. 덜 피곤하다라는 게 물론 승차감 자체가 그렇게 좋지는 않지만 거친 노면에서 올라오는 그 진동이나 소음 같은 걸 끝에서 한번 잡아 주는 그런 느낌을 주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을 해도 그렇게 엄청 피곤하다는 느낌은 많이 안 들었습니다.
[ M스포츠 패키지와 럭셔리 패키지의 승차감 차이가 분명한가요? ]
진짜 극과 극입니다. 만약에 내가 스포츠 주행이나 그런 부분을 좀 더 지향을 한다 하면 무조건 M 스포츠 패키지로 가시는 게 맞고요. 아니면 저같이 편안하고 스포츠 주행 같은 걸 둘 다 잡고 싶은 분한테는 그래도 럭셔리 패키지가 더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또 다른 장점으로 디자인을 꼽고 싶은데요. 앞부분에 크롬 장식으로 인해 가지고 D세그먼트답지 않게 고급감도 있고요. 그리고 제가 가장 반했던 부분은 이 사이드 프로포션 부분이었는데요. 특히 후륜구동 자동차를 보면 오버행 자체가 짧지 않습니까? 이거 자체가 저는 굉장히 마음에 들었던 게 단정한 비율을 가진 신사 같은 느낌을 줘서 저는 상당히 좋았습니다.
또 디자인에서 인상 깊은 게 후면부에 테일램프가 정말 예쁜 것 같습니다. 그 부분도 제가 정말 반해서 구매하게 된 동기고요.
추가적으로 배기구 있지 않습니까? G바디 세대에서는 양쪽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좀 더 비율적으로 성숙한 디자인이 아닌가 이렇게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또 다른 장점으로는 옵션 구성을 제가 장점으로 뽑고 싶은데요.
보통 수입차 같은 경우에는 많은 옵션을 지불하기 위해서는 고가로 좀 많은 금액을 지불해야 되는데요. 4,000만 원 중반대 치고는 있을 만한 옵션은 다 들어가 있습니다. 물론 일반적으로 여러분이 좋아하는 통풍시트나 그런 건 없더라도 제가 가장 많이쓰는 HUD나 전동 시트가 들어가요. 저는 이 부분에 대해서 되게 높은 점수를 주고 싶고요.
HUD 같은 경우에는 되게 시인성이 좋기 때문에요. 운전하면서도 따로 계기판을 쳐다보지 않고 운전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플러스 요소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 친구가 기본적으로 엠비언트 라이트 라든가 선루프도 기본으로 들어가고요. 열선핸들 그리고 열선시트까지도 포함됩니다.

YouText의 콘텐츠는 이렇게 만들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