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콘텐츠 모아보기: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데!”(2부) 부모에게서 독립하는 방법

  • 지식

심리 심리학 심리학 강의 심리 강의 대인관계 인간관계 가족 부모 자식 자식관계 부모관계 가스라이팅

가족에 대한 선입견 혹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분리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모와 자녀 사이에 건강한 경계선을 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이게 또 자녀만의 노력 갖고 된 것도 아니에요. 부모가 좀 허용해 줘야 해요. 자녀가 자기를 떠나는 것을. 근데 떠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죄책감을 심어주거나 비난을 가하면서 잡아당긴다면 그러면 자녀는 망설일 수가 있거든요. 그리고 또 자녀 측에서도 변화가 필요합니다. 용기가 필요합니다. 용기를 내서 대인관계와 성인으로서 삶의 네트워크를 스스로 형성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죠.

심리 심리학 심리학 강의 심리 강의 대인관계 인간관계 가족 부모 자식 자식관계 부모관계 가스라이팅

요즘에 1인 가구가 되게 많이 확산되고 있잖아요. 요즘에 추세를 보면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을 하고나면 거의 상당수가 독립을 해요. 부모님과 더 이상 살지 않더라고요. 그럼 혼자 사니까 독립됐겠네요? 아니죠. 주거만 독립인 경우들이 많아요.

여전히 정서적으로 의존돼 있으면 공간이 분리됐다 할지라도 여전히 이 부모와의 통제 매커니즘은 강력하게 작용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정서적인 독립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정서적 독립은 한마디로 표현하면 성인이 되는 겁니다. 성인이 무엇이냐면, 이 세상에 나 혼자 있다는 걸 아는 거예요. 아동기 때는 모릅니다. 나는 혼자가 아니라고 생각하죠. 엄마가 있고, 아빠가 있으니까요. 사고치면 엄마, 아빠가 다 해결해 주잖아요. 성인은 자신 혼자인 걸 인지하고, 직접 해결해야 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문제를 사랑하는 엄마, 아빠에게도 말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옵니다. 사랑함에도 불구하고 그분들이 나에게 힘이 됐다는 걸 알면서도 이 문제를 누구에게도 말 못 하는 거예요.

그럴 때 알아야 합니다. 내가 혼자라는 것을. 바로 내가 혼자라는 그 인식에서 정서적 독립이 시작되는 거예요.

심리 심리학 심리학 강의 심리 강의 대인관계 인간관계 가족 부모 자식 자식관계 부모관계 가스라이팅

여전히 정서적으로 독립돼 있지 못한 그런 청춘들을 보면 그들은 “나 혼자 아니야, 내 뒤에 엄마 아빠 있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요. 문제 생기면 바로 뒤에 도망가서 엄마, 아빠의 그늘에 숨으려고 합니다.

의존적이고 책임을 지려하지 않는 그런 성향을 냉정하게 볼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한편으로는 부모가 굉장히 밉고 싫을 때도 있지만 한편으로 의지가 되죠. 그렇지만 그 의지가 바람직하지 않은 겁니다. 저의 이 이야기를 듣는 분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20대가 된 우리는 알아야 돼요. 결국 내가 다 결정하고 선택하고 아무리 부모의 권유라 할지라도 결국 모든 결과는 내가 다 책임져야 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이런 노력들이 이제 정서적 독립이라고 하는 주제 속에서 펼쳐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혼자라고 느낀다는 게 너무 냉정한 거 아니에요?’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혼자이기 때문에 난 누군가가 필요한 거예요. 혼자 살 수 없잖아요.

심리 심리학 심리학 강의 심리 강의 대인관계 인간관계 가족 부모 자식 자식관계 부모관계 가스라이팅

이 외로운 나의 처절한 현실 속에서 나를 사랑해주고 그리고 나를 위해서 응원해주는 그런 소수의 사람들은 더 고마운 거죠. 그리고 그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애를 쓸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혼자가 아니고 나름대로 의존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그 관계는 애증으로 뒤엉켜버려요. 독립도 못하고 그렇다고 또 자기 인생을 박차고 나오지도 못 하니까요. 부모 입장에서도 함량 미달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면서 속으로는 떠나고 싶은 마음이 있으면서도 떠나지 못하는 거죠. 그리고 늘 부모를 원망하고 환경을 원망하면서 정작 어떻게 떠나야 할지 모르는 그런 혼란스러움 속에 멈춰 있을 수 있다라고 할 수 있죠.

심리 심리학 심리학 강의 심리 강의 대인관계 인간관계 가족 부모 자식 자식관계 부모관계 가스라이팅

그렇다면 정서적으로 독립하기 위해서 내가 혼자라는 걸 인정하기 왜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하면 될까요? 저는 두 개의 날개가 필요하다고 봐요. 하나의 날개는 애착입니다. 부모와의 단단한 애착이죠. 그리고 또 하나가 뭐냐면 분리예요.

이 애착과 분리라고 하는 두 날개의 적절한 균형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의 인생을 멋지게 날아서 내 인생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만약에 부모님하고 그런 건강한 애책을 맺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이럴 때 낮은 자존감으로 훅 들어가면 안됩니다. 부모님과 사이도 별로 안 좋았고, 사랑도 못 받았고, 독립하는 걸 별로 응원도 못 받게 될 때, 쉽게 좌절하고 포기하게 되거든요.

심리 심리학 심리학 강의 심리 강의 대인관계 인간관계 가족 부모 자식 자식관계 부모관계 가스라이팅

하지만 내 인생의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는 거예요.

비록 부모나 주변 사람들이 나를 대단하게 보고 가치있게 여기지 않았다 할지라도 내가 내 자신을 어떤 눈으로 보는가, 내 자신에게 어떤 가치를 부여하는가에 따라서 또 다른 인생의 가능성이 달라진다고 이야기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 진정한 가정의 의미가 무엇인지, 우리가 부모님을 볼 때 어떤 관점으로 봐야 하고 어떤 상황에서 조금 더 건강한 가족 간의 관계를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럼 오늘의 심리학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YouText의 콘텐츠는 이렇게 만들어 집니다.

댓글 남기기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